![]() |
![]() 트림을 할 때 ‘꺼억’하고 공기만 나오는 것이 좋지만 트림과 함께 분유를 토하더라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구토가 아니라 위의 발달이 미숙하여 저절로 역류하는 것으로 9~12개월까지는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수유 후 트림을 시키지 않고 바로 눕히면 위장의 압력이 높아져 더욱 게워내기 쉽다. 특히 목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는 게워낸 내용물로 인해 기도가 막힐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요령이 따로 있어요! 1 엄마 무릎에 아기를 앉힌 자세로 세워 약 10분 내외로 등을 아래로 문질러주거나 토닥여 준다. 2 또는 아기의 턱이 엄마 어깨에 오게 엄마 품에 세워 안고 등을 아래로 문질러주거나 토닥여준다. 3 수유 중 잠이 들었다면 가슴에 안아 가볍게 문질러주며 잠이 깨지 않고 트림을 하도록 유도한다. 4 10분 정도 안고 있었는데 트림을 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어느 정도 내려갔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5 아기가 트림을 하지 않고 잠이 든다면 위장이 왼쪽에 있으므로 오른쪽으로 눕히고 머리를 약간 높여 재운다. 분유 수유 할 때는요… 1 아기 입 주위에 분유를 한 두 방울 떨어뜨려 구역질을 예방하고, 입을 벌리게 하여 젖꼭지를 완전히 입 안에 집어넣은 다음 병 속의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분유병을 기울인다. 2 수유하는 동안 아기가 청색증은 없는지, 게워내지는 않는지, 딸꾹질을 하진 않는지 잘 살펴봐야 한다. 3 수유하는 도중에 게워내면 계속 먹이지 말고 중간 중간 트림을 시켜가며 천천히 먹인다. 4 트림을 했더라도 아기를 눕힌 후에는 바로 자리를 뜨지 말고 아기의 증상을 살펴봐야 한다. 모유 수유할 때는요… 1 모유가 분유에 비해 소화가 잘 되고 게워내는 경우도 적지만 젖을 바꿔 먹일 때 공기를 들이마시게 되므로 트림을 시키는 것이 좋다. 2 밤중에 수유하는 건 좋지 않다. 하지만 많은 아기들이 자다가 배가 고파 보채므로 어쩔 수 없이 수유하는 경우가 있다. 앉아서 먹인다면 아기가 먹다 잠이 들어도 바로 눕히지 말고 한동안 안고 토닥여준다. 또 나란히 누워서 수유할 때는 아기가 오른쪽을 보고 눕게 해 먹이고 잠이 든 후에도 똑바로 눕히지 않는다. |
'세상만사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에 구멍 뚫렸나? 무시무시한 원형 빛 목격돼 (0) | 2009.10.14 |
---|---|
아기를 안는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 (0) | 2009.10.12 |
감기에 강한 아이로 키우는 엄마의 육아 지침 (0) | 2009.10.12 |
동북아의 실크로드, 한중 해저터널 (0) | 2009.10.12 |
'한·일 해저터널' 일본쪽 시발점을 가다 (0) | 200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