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DSLR을 구입하려하는 경우 스팩이 훌륭한 DSLR을 구입하고 싶지만,
DSLR은 초급, 중급, 고급기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므로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난 초.중급 DSLR(100~200만원선)의
추천할 만한 DSLR을 소개하고, 각 업체별 DSLR의 특징을 위주로 이야기 하겠다.
( 참고, 3개사의 제품만 설명 한 것은 실제 3개사의 제품까지만 써봤기 때문인 것을 참고 하길 바란다. )
1. Nikon.
Nikon D90( 화소 : 1230만, ISO : 6400, 센서 : 1:1.5, LCD : 3인치, 동영상 지원-1280*720 )
니콘 DSLR의 경우에는 주로 여행이나 접사를 즐겨하는 사람에게 추천을 해주고 싶다.
니콘 DSLR의 특징은 빛이 풍부한 상황에 놓인 경우 그 색감을 강렬하게 표현해 주고, 매크로 촬영에 강력한 부분을
보이기 때문이다.
나 또한 여행을 좋아하고 강렬한 색감을 좋아 함으로, 현재 Nikon D90 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는 경우 화이트 발런스가 깨지고, 저채도 현상이 아래 사진과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Nikon D90은 또한 세계 최초로 DSLR 에 동영상 기능을 선보인 제품으로 강력한 동영상 위력을 제공한다.
하지만, 동영상 촬영시 자동 초점기능은 없어, 수동으로 초점을 맞춰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영상의 포커싱을 사용자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동 초점은 또 하나의 매력이 될 수 있다.
아래는 Nikon D90으로 제작된 뮤직 비디오 이다.
(SLR 클럽 - 리베로 비주얼님 / D90 으로 뮤직비디오 찍기 제 3 탄)
Nikon의 D90 가격대비 성능비는 참으로 좋다.
위에 언급한 Nikon D90 외에도 Nikon DSLR 입문으로 좋은 Nikon D40(40~55만원선),
자금적 여유가 있다면 Nikon D3(500~600 만원선)을 추천한다.
2. Canon.
Canon 500D( 화소 : 1510만, ISO : 3200, 센서 : 1:1.6, LCD : 3인치, 동영상 지원-1920*1080-HD )
Canon의 DSLR의 경우에는 스튜디오와 언론 기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Canon DSLR의 특징은 인물촬영시 부드러운 색감과 화사한 색감이 있다.
아래의 사진과 동영상을 보면, 캐논의 그 부드럽고, 화사한 색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보통 여성 분들이 이런 색감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다.
인물 사진의 경우에도 뽀사시하게 나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풍경 사진 같은 경우 수채화 같으면서 은은한 신비감을 표현하지만, 강렬한 색감은 찾기 힘들다.
(위의 2개의 사진은 극단적으로 Canon 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쓰였음.)
이와 같은 특징은 동영상이 지원되는 Canon DSLR에서도 나타난다.
(D-Movie 니콘 D90& 캐논 5D Mark II 카폐- 최용석님 / 민설 Happening 뮤직비디오 - 5D Mark II)
위에 언급한 Canon 500D 외에도 Canon 의 DSLR 입문으로 좋은 Canon EOS 350D(50~60만원선),
자금적 여유가 있다면 FULL-HD 동영상을 지원하는 Canon EOS 5D Mark II (300~350 만원선)을 추천한다.
3. SONY.
SONY A333( 화소 : 1020만, ISO : 3200, 센서 : 1:1.5, LCD : 2.7인치)
SONY DSLR의 경우에는 중성적인 느낌이 강하고, 색감이 어디에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인 색감을 만들어 내는게 특징이다.
그래서 SONY DSLR 로 촬영한 풍경, 인물은 색감이 안정적이다라고 생각된다.
(어떻게 보면, 어디쪽에 특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독특함이 없다?라고 개인적으로 생각된다.)
위에 언급한 SONY A333 외에도 SONY DSLR 입문으로 좋은 SONY A300(60~75만원선),
자금적 여유가 있다면 고급기인 SONY A900(320 만원선)을 추천한다.
하지만 렌즈군이 별로 없다는 것이 SONY DSLR의 단점이다.
위와 같이 좋은 바디를 구입했다 하더라도 지원하는 렌즈군이 다양한지 확인해봐야 한다.
카메라를 아무리 좋은 것을 쓴다고 하더라도 렌즈가 좋지 않다면,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DSLR 바디가 좋은 거라면, 그 만큼 렌즈 또한 좋아야 함으로 가격 부담이 크다는 것도 생각해봐야 겠다.
몇 백~천만원 단위까지 간다.
그럼, 다음 글에서는 DSLR의 포커싱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다.
'DSLR의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LR 어떤 것을 구입해야 할까? (0) | 2009.12.23 |
---|---|
DSLR 초보강좌 (0) | 2009.12.23 |
캐논 EOS 7D 시야율 문제, 해결 국면 맞을까? (0) | 2009.12.23 |
‘D3s 대항마’ 캐논, 프레스용 DSLR ‘EOS 1D 마크4’ 발표 (0) | 2009.12.23 |
동영상 DSLR이 캠코더 대체할까? (0) | 2009.12.23 |